새 차 길들이는 방법!
새 차를 구매하게 되면 초기에 차량을 잘 길 들여야 연료효율이나 좋은 연비를 유지해 나갈 수 있어요. 그런데 잘못된 속설이나 상식들은 차를 오히려 망가뜨리기도 하기 때문에 정확히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럼 새 차 길들이는 방법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고속주행 금지
아마도 가장 많이 알려져 있으면서도 가장 많은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새 차를 구입하면 엔진을 길들이기 위해 RPM을 급하게 올리는 고속주행을 해야 한다는 게 그 속설인데요. 하지만 이런 방법은 반대로 차를 망가뜨릴 수 있는 방법이에요. 새 차는 엔진 내부에 미세한 쇳가루가 남아 있기 때문에 주행거리가 2,000km가 될 때까지는 고속주행을 최대한 피하고, 가속 시 2~3,000RPM 사이가 되도록 유지해야 엔진부품을 최적의 상태로 길들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하니, 지금부터라도 잘못된 상식은 잊어버리도록 합시다.
급 가속, 급 제동 피하기
이 부분은 새 차 외에도 모든 차량에서 적용되는 부분이긴 해요. 내부에 부품들이 자리를 잡기 전부터 차량에 무리를 주면 차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성능이 떨어지고 수명을 단축시킨다고 합니다. 그래서 주행거리 2,000km 이전까지는 시속 120km/h 이하로 정속 주행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후 다양한 기어 변속과 가속, 감속을 반복하는 운전법으로 차량을 적응시키는 것이 좋다고 해요.
엔진오일 빨리 교체하기
엔진오일의 교환주기를 지키는 것은 차량관리의 가장 기본입니다. 보통 5,000~10,000km 주행 후 엔진오일을 갈도록 추천하기도 하지만 새 차는 이 주기보다 조금 더 빨리 엔진오일을 교체해주는 것이 좋다고 해요. 첫 엔진오일 교환 시점은 전문가마다 의견이 조금씩 상이하긴 합니다만 보통 1~3,000km 주행 후에 교체할 것을 권하고 있어요.
초기에 길들여진 엔진 성능은 연비와 깊은 연관성을 갖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새로운 엔진이 구동을 할 땐 미세한 쇳가루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조금 더 일찍 교체를 해주는 것이 좋고, 출고 시 저가형 광유계의 엔진오일이 주입되었다면 마찬가지로 교환주기를 조금 앞당기는 게 좋겠죠. 합성 엔진오일을 사용하게 되면 가격은 조금 더 비싸지만 윤활성능이 더 좋아서 엔진의 마모를 줄일 수 있다고 하니 엔진오일은 꼭 전문가의 추천을 받아 선택하도록 합시다.
차량 언더코팅 하기
차체는 금속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부식으로 인한 노화를 신경 써야 합니다. 겨울철 염화칼슘과 휴가철 바닷가의 염분 등은 차체 하부에 부식을 가져오기 때문에 부식방지를 위해 차량 언더코팅 시공을 하면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해요. 필수 시공은 아니지만 시공을 고려하신다면 부식이 차츰 시작되는 10,000km 이전에 하는 것이 가장 좋고, 새 차의 상태를 최대한 오래 유지하는 방법이라고 하네요.
코팅, 광택은 3개월 이후부터
새 차를 아끼는 마음에 대부분 출고와 동시에 여러 가지 시공을 하는 경우가 많죠. 그중에서도 광택, 코팅은 출고 후 바로 하면 안 됩니다. 출고 후 최소 3개월까지는 차체 도장면이 건조되는 기간이라고 해요. 도장면이 완전히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를 반짝이게 하겠다고 도장면을 깎아내는 방식의 광택은 오히려 손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코팅제를 덧입히는 코팅 역시 마찬가지인데요, 이러한 시공은 도장면이 완전히 건조될 수 있도록 약 3개월이 지난 이후에 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